반응형 배터리6 미국이 결국 IRA에서 한국에 항복한 이유 1. 결국 태도를 바꾼 미국 공장 철수까지 고려하던 한국 기업들의 압박에 결국 미국이 한발 물러선 모습입니다 그런데 미 의회에서 일본은 한국과 다른 대우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한국은 대체가 불가능하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한국의 전략을 본 대만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대만 내에 TSMC의 공장을 더 짓겠다고 발표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삼성전자가 한국에 300조 규모의 투자를 하겠다고 밝힌 것과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어 대만이 크게 당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세부 지침에서 한국 기업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 현재의 공정에서도 대부분 보조금 조건을 충족시킬 .. 2023. 4. 4.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대격변이 이뤄지고 있다 1. CATL의 자금줄에 문제가 생겼다 로이터통신은 14일 글로벌 배터리 시장 1위인 중국 CAT의 해외주식예탁증서(GDR) 발행이 지연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초 CATL은 GDR 발행으로 오는 5월을 목표로 스위스 취리히 증권거래소에 상장해 최소 50억달러, 약 6조5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고자 했습니다 CATL은 이와 관련해 올해 1월 말이면 중국 금융 당국의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당국이 GDR 대규모 발행에 대한 우려를 표하면서 절차가 늦어지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습니다 중국 금융 당국은 CATL의 추가 자금 조달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ATL은 지난해 6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450억위안 약 8조5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당시 .. 2023. 3. 21. 자동차 기업들이 한국 배터리 기업들에 전쟁을 선포한 이유 1. 포드의 배신으로 시작된 전쟁 국내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한 자국 전기차 회사 우대 및 전기차 생산시설 자국 유치 욕심에 불이익을 받았습니다 현대차는 미국 현지에 전기차 생산시설이 없어 당분간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따른 세제 혜택을 못 받는 상황입니다 특히 국내 배터리업체들마저도 배신감을 토로하고 있는데,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가 중국 배터리 제조사 CATL과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포드가 공장을 100% 소유하고 CATL은 기술만 제공하는 방식으로 법안을 우회하며, 미국 시장을 장악할 것이라는 기대는 이미 사라진지 오래입니다 포드의 행보를 주목해야 하는 것은 자동차 회사들이 배터리 생산에 뛰어드는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전기차 전환이 궤도.. 2023. 3. 2. 미국 포드가 SK온의 전기차 배터리를 비난한 이유 1. 이례적인 포드의 SK온 비난 최근 포드의 주력 전기차 모델 F-150 라이트닝 픽업트럭의 생산이 일시 중단됐습니다 그런데 결함 사유에 대한 조사가 끝나기도 전에 포드는 이 문제의 원인에 대해 배터리를 지목하면서,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일각에서는 최근 중국 CATL과 협력을 약속한 포드가 한국 배터리 대신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기 위한 명분 쌓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법안으로 사실상 중국산 배터리 사용이 금지된 상황에서, 한국산 배터리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림으로써 CATL과의 협력에 대해 승인을 받기 위해서라는 것입니다 이는 한미 동맹에도 엄청난 타격을 줄 수 밖에 없는데, 한국은 IRA로 인해 현대차가 막대한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 2023. 2. 16. 이전 1 2 다음 반응형